"수학"은 "연산이 아니다"
"우리아이가 수학을 좋아해요." 하는 5,6세 엄마들은 보면,
아이가 1부터 100 이상의 수를 읽고 쓰고 알 수 있거나
억이나 무한대 같은 큰수들에 관심을 갖기도 하고.
간단한 덧셈 뺄셈을 할 줄 알거나,
심지어 구구단을 외기도 한다.
아이가 수학을 좋아하니 더 시켜주고 싶다.
안다.
아이가 더 알고 싶어하니까~
절대 내 욕망 때문이 아니라곳~!!!
이런경우,
엄마가 가베나 오르다, 팩토, 몬테소리 등으로 확장 해 주는거라면 괜찮다.
(만약 엄마가 해주는 교구 수업이라면 더 좋겠지만, 사실 이건 엄마 품이 너무 든다.)
내가 생각하는 가장 안 좋은 경우는
연산 학습지의 길로 들어서는 경우이다.
대부분의 연산 학습지는.
그 수의 양이나 서수나 개념 같은 것들을 중요시 하기보다는
그 수들을 더하고 빼고 자릿수를 늘려 가는.
진도에 집중하는 듯하다.
(물론 연산이 나쁘다는게 아니라 다른 수학 모른체 연산만 선행한다는 거다.)
사실 연산만으로 봐도, 꼭 지면으로 많은 양을 풀리는게 필요한 시기가 아니다.
7세쯤 되면 엄마들이 이게 맞나 싶어 한다.
아이도 슬슬 질린다.
근데, 수학은 연산이 아니지만,
수학에 연산이 있고, (수학이 나무라면 연산은 한 줄기)
연산은 초등 저학년 수학에서 중요하고, 많은 부분을 차지 한다.
그래서 7세쯤 이 길을 계속 가야 하나 고민하면서도.
멈추는 건 또 무섭다.
혹시 아이가 잘 따라온다면??
그래.
학습지도 하고 다른 재밌는 놀이도 생각해 보자.
하지만, 아이가 너~무 지겨워 한다면?
다시 잘 생각해보자.
이런 상황에 어떻게 하는게 좋을지 판단 할 수 있는 사람은.
솔직히 엄마밖에 없다.
유치원생 엄마라면
한번쯤 초등1,2학년 때 어떤 것들을 배우는지 검색해보면 좋을 것 같다.
분명 숫자가 많은 부분을 차지하지만,
도형, 측정 (시간, 길이, 무게 같은), 규칙 같이
연산학습지에서 채워주지 않는 부분들이 있다.
그리고 이것들을 즐겁게 경험해보고 초등에 가는 것은
더 수학을 즐거워 하게 되는 길이 될 거 라는거~
수학은 생각보다 더 재밌다는 걸 알려주자.
#2 사고력 수학은 꼭 해야 하는 걸까?? (초등 저학년)
[제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로그인 없이 가능한 밑에 공감<♥> 버튼 부탁드려요~] ↓↓↓↓↓↓↓↓↓↓↓↓↓ |
#6 연산 학습지. 시켜 말어? (0) | 2019.12.04 |
---|---|
#5 연산 빨리 시작할까? (2) | 2019.12.03 |
#4 그엄마는 엄마표 수학놀이 이렇게 했대. (0) | 2019.12.02 |
#3 수학도 언어다. (엄마표 수학도 좀 하자) (0) | 2019.11.29 |
#2 사고력 수학은 꼭 해야 하는 걸까?? (초등 저학년) (0) | 2019.11.28 |